브레인월드 뇌와 뇌교육

본문

호르몬 이야기 호르몬이 어떻게 우리의 몸과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세로 본능을 깨워라 성장호르몬

키, 클수록 좋다?

최근 국제 패션계의 마른 모델 퇴출 움직임과 함께 프랑스에서는 거식증을 조장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안이 통과되어 화제를 낳고 있다. 그런데 마른 몸을 권하는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권장 사항이 있으니, 바로 가로 본능을 살짝 돌려놓은 세로 본능 ‘키’이다. 살은 어찌어찌 찌우고 뺄 수있지만 키는 다르다. 한때 ‘롱다리냐, 농다리냐’라는 농담까지 만들었던 무한장신 추구 현상은 키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보다 더 영리함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까지 나올 정도에 이르렀다.

뇌의 작용 없이 키는 성장할 수 없다. 그중에서도 키 하면 졸다가도 손을 번쩍 들어올리는 호르몬,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이 있다.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성장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gland)에서 가장 많이 분비된다. 또한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HRH: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의 자극을 받는다. 성장호르몬은 성장기 아이들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일생 동안 방출되는 호르몬으로 노년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호르몬 혼자 힘으로는 만들 수 없다. 단백질과 인슐린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영양 결핍이나 인슐린 조절이 힘든 당뇨병이 있으면 성장호르몬이 존재한다 해도 1GF-1의 생성이 적어 성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 호르몬은 장에서 근육을 만드는 원료인 아미노산의 흡수를 높이고, 단백질의 합성을 자극하여 근육까지 균형 있게 자랄 수 있도록 돕는 역할도 한다.

이름 값 톡톡히 하는 성장호르몬

최근 국제 패션계의 마른 모델 퇴출 움직임과 함께 프랑스에서는 거식증을 조장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안이 통과되어 화제를 낳고 있다. 그런데 마른 몸을 권하는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권장 사항이 있으니, 바로 가로 본능을 살짝 돌려놓은 세로 본능 ‘키’이다. 살은 어찌어찌 찌우고 뺄 수있지만 키는 다르다. 한때 ‘롱다리냐, 농다리냐’라는 농담까지 만들었던 무한장신 추구 현상은 키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보다 더 영리함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까지 나올 정도에 이르렀다.

뇌의 작용 없이 키는 성장할 수 없다. 그중에서도 키 하면 졸다가도 손을 번쩍 들어올리는 호르몬,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이 있다.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 성장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gland)에서 가장 많이 분비된다. 또한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HRH: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의 자극을 받는다.

- 글·박영선. 뇌교육 매거진 <브레인> 게재 -